교과목개요
치면세마론(Oral Prophylaxis), 치면세마실습1.2(Oral Prophylaxis Practice 1.2)
- 스켈링을 통하여 환자에게 완벽한 치석제거를 할 수 있도록 구강의 해부학적인 특성을 이해
하며 부위별로 올바른 치석제거를 통하여 국민의 구강보건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며 구강건강
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치과방사선학(Oral Radiology), 치과방사선실습(Oral Radiology & Practice)
- 진단에 한 방법인 방사선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기초이론과 실습의 원리를 익히며 환자와
술자의 방호에 가장 적절한 방법도 실제로 응용할 수 있게 한다.
임상전단계실습(Preclinical Practice)
- 치과치료에 대한 진료업무와 진료보조업무에 임할 때 치과위생사로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진료분야에 대한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구강보건통계학(Oral Health Statistics)
- 구강보건과 관계되는 제반적인 현상을 통계적으로 처리하기에 앞서 통계적인 사고방식이나
수단에 대해 충분히 알고 이해하며 구강보건실태를 올바르게 파악하는데 있다.
지역사회구강보건학(Community Dentistry)
- 지역주민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하여 구강보건교육가로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과 공중구강 보건활동, 구강병 예방사업에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을 배양하도록 한다 .
치과재료학 및 실습(Dental Materiology & Practice)
- 진료실에서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과 취급방법 및 관리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숙달된 업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방치과학(Preventive Dentistry). 예방치과학실습(Preventive Dentistry Practice)
- 모든 치료술식에는 반드시 예방치과적 시술이 전제되고 포함되어야 하며, 치료가 완료된 후에
도 계속구강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강보건교육과 위생관리 및 계속적 예방처치를 시술해
줌으로써 발생 가능한 구강병을 조기 발견하여 진행되지 않게 함으로써 성공적인 치과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공중구강보건학(Public health Dentistry)
- 공중구강보건지식내용을 체계적으로 익히며, 공중구강보건사업계획을 수립할 때 적합한 수립
능력을 배양하며, 구강보건행정 및 제도를 숙지함으로서 미래의 구강보건전문인력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여 이를 통해 국민 구강보건의 향상 위해 일선에서 활동하게 한다.
구강해부학(Oral Anatomy)
- 인체해부학에 기초하여 특히 관련이 많은 두경부의 해부학적인 구조를 익힌다.
치아형태학(Tooth Morphology). 치아형태학실습(Tooth Morphology & Practice)
- 유치와 영구치의 각각의 특징과 형태를 이해한다.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Dental health education & Practice)
-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각 대상에 따른 구강보건교육과정을 수립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 영유아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매체를 제작하여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할 수 있다.
치주학(Periodontology)
- 치주질환의 원인과 각종 치주질환에 따르는 증상과 치료과정을 이해하며 임상에서 치주조직의
건강유지를 위한 방법과 특수환자에 대한 관리와 예방법에 대하여 이해 할 수 있도록 한다.
구강조직발생학(Orak Histology & Embryology)
- 악안면 구조의 발생과정을 조직학과 발생학을 기초로 해서 충분히 익혀 심도있는 지식을 익히게 한다.
치과보철학(Prosthetics)
- 치아의 저작, 심미,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결손치에 대한 적절한 보철물의 적응증과 보철술
식에 대한 이해를 확립하여 임상에서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치과보존학(Operative Dentistry)
- 치아보존의 개념과 이론을 배우고 수복을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와 치료방법을 습득하
여 임상에서 진료의 질을 향상하고 원활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구강병리학(Oral Pathology)
- 구강과 구강주위에 생기는 질병의 원인, 질병의 상태 그리고 치료한 후의 상태를 이해하여 임
상에서 진료시 활용한다.
의료관계법규(Medical Law)
- 의료관계종사자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비롯한 의료법과 관련 법령을 이해하여 치과위생사로서
그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법의 입법취지를 이해하고 업무에 반영하여 원활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강외과학(Oromaillofacial Surgery Oral)
- 인간의 악골과 그 주위조직에 발생하는 질환, 손상과 결손의 원인, 진단과 외과적인 처치를
연구하는 치과임상의 일부분을 학습한다.
소아치과학(Pedodontics)
- 소아의 악구강영역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기능과 형태의 보존을 유지하고 소아에 있어서 구강
내의 기능을 원활히 하기 위한 학문이다.
구강생리학(Oral Physiology)
- 구강의 기능과 이를 이해하기 위한 일반적이 생체기능을 이해하고 구강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치과교정학(Orthodontics)
- 안면, 턱, 치아의 성장 발육과 무한한 변이에 대하여 그리고 일정한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정해
진 한계내에서 치아, 안면의 이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