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HOME > 교과과정 > 교과목개요

교과목개요

인체해부학 (Anatomy)

  • 인체의 기본구조를 이해시키고, 인체의 각 세포ㆍ조직ㆍ기관ㆍ계통 등의 해부명칭과 부위를 방사선진단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게 학습한다.

방사선감광학 (Radiation Photosensitization)

  • 의료용 영상의 이해와 응용을 위한 사진화학의 감광이론, 감광재료와 그 특성, X선필름의 현상 처리, 광학상의 형상이론, 형광물질의 특성?응용이론 등을 학습한다.

일반물리 (General Physics)

  • 물리학은 자연현상을 통일적, 법칙적으로 인식하려는 학문으로 대상은 우주로부터 소립자의 구성요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의학기술의 기초로서의 자연현상의 여러 원리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방사선의학개론 (Introduction of Radiologic medicine)

  • 방사선을 이용한 의학의 역사 및 의료기술의 발달과정, 의료제도, 의료기관이 조직과 방사선 관련 부서 및 방사선사의 역할은 물론 방사선의 물리적 성질, 방사선진단, 방사선치료, 핵의학검사 등에 대한 개론적인 내용을 이해시키고 의료종사자의 윤리 등 의학 및 의료의 기초 개념을 학습한다.

방사선 기기학 (Radiologic Equipment)

  • 진단용 X선 장치, 방사선치료장치, 핵의학 검사기기, 초음파 검사기기, 자기공명 검사기기 등의 구조, 동작원리 특성들을 이해시킴과 동시에 기기에 관한 규격과 검사법, 기기관리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의학용어 (Medical Terminology)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영어와 의학용어 어근, 접미사, 해부학, 증상, 진단 및 치료와 검사용어들을 습득하여 임상활용의 방법을 학습한다.

영상정보학 (Medical Image Interpretation)

  • 의료용에 사용되는 방사선영상의 형성, 해석 및 평가에 관한 이론을 학습한다.

방사선물리학 (Radiation Physics)

  • 진료방사선분야 전반에 걸친 물리학의 기초, 물리현상의 기본이론 및 원자물리학, 원자핵물리학 개론을 학습한다.

방사화학 (Radiochemistry)

  • 방사화학의 기초와 함께 방사성의약품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성화학품학과 연관시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최신의 방사성의약품에 대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초음파영상학 (Ultrasonic Imaging)

  • 초음파를 이용한 영상형성에 관련된 이론과 각종 질환 또는 인체 부위에 대한 검사법을 학습한다.

방사선진료환자간호 (Patient Care in Radiology)

  • 간호의 기본이론, 환자의 심리와 행동, 구급의료의 개요, 무균조작의 원리, 방사선 진료환자의 취급법 등 방사선진료에 필요한 간호원리를 학습하고 방사선사의 직업윤리를 이해시킨다.

병리학 (Pathology)

  • 인체 각 기관, 장기의 주요한 질환의 원인, 경과, 기전 등을 이해시키며 특히 방사선진단 및 치료의 대상이 되는 주요한 질환의 병리에 대하여 학습한다.

인체 생리학 (Human Physiology)

  • 인체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생체기능과 특성을 물리화학적 요인 및 생물학적으로 그 기전을 규명하여 각 기관의 중요한 생리기능에 대한 지식을 학습한다.

방사선생물학 (Radiation Biology)

  • 방사선의 생물에 대한 영향을 이해시키며 방사선의 체내와 피폭 및 방사성동위원소를 투여했을 때에 일어나는 생물학적 작용 및 방사선 장해에 대하여 학습한다.

전기공학 (Electrical Engineering)

  • 전기이론, 전기계기와 그 측정기술, 전기기기, 고전압현상 및 안전취급, 전기물성과 전기재료등 방사선설비 및 전자회로의 응용에 필요한 전기공학의 기초이론을 학습한다.

혈관촬영학 (Angiography)

  • 혈관질환의 검사와 치료을 위한 중재적 시술에 관련 학문으로 혈관 및 각종 장기의 이상 유무 판별과 혈관의 동태와 기능에 대하여 학습한다.

전산화단층촬영학 (Computed Tomography)

  • X선을 이용한 computer에 대한 개념 및 전산화단층촬영장치를 이용한 영상형성에 관련된 이론과 각종 질환 또는 인체 부위에 대한 검사법을 학습한다.

방사선치료학 (Radiotherapeutic Technology)

  • 방사선치료의 기초 이론인 고에너지 X선, 감마선, 전자선, 밀봉소선원 등을 이해하고, 각종 질환별 치료계획, 치료선량의 측정, 조사기술, 각종 치료장치 및 관련기기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핵의학기술학 (Nuclear Medicine Technology)

  • 핵의학검사에 필요한 방사성동위원소의 물리적 기초이론, 방사선측정, 핵의학기기와 사용기술 그리고 In vivo 핵의학검사 및 치료와 In vitro시료계측에 이용되는 방사성의약품의 제조, 특성 및 생체 내에서의 동태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방사선계측학 (Radiation Detection and Measurement)

  • 의료용 방사선양의 개념과 검출 및 측정의 원리, 방사선측정기의 구조와 특성,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방사선의 에너지, 선량, 방사능과 개인피폭선량 계측의 방법을 학습한다.

공중보건 (Public Health)

  • 건강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예방의학의 기초이론과 중요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영상해부학 (Medical Imaging Anatomy)

  • 인체해부학의 지식을 기초로 하여 각종 의료용 영상(X선, 초음파, 자기공명영상, 전산화단층촬영, 동위원소)에 나타나는 국소해부에 대하여 인체구조와 관련시켜 이해시키고 학습한다.

자기공명영상학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자장을 이용한 computer의 개념 및 자기공명영상장치를 이용한 영상형성에 관련한 이론과 각종 질환 또는 인체부위에 대한 검사법을 학습한다.

보건법규 Health Related Law

  • 의료종사자의 업무내용과 역할을 인식시키고, 의료보건 관계법규의 내용을 학습한다.

방사선진단학 Radiation Diagnostics

  • 영상해부학을 기초로 하여 진료영상과 각종 질환의 병태와 비교 관련시켜 각종 영상의 종합진단 등 영상독영법의 기초 이론을 학습한다.

방사선관리학 Radiological Health Management

  • 방사선에 의한 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의료용 방사선 시설에 필요한 방어, 저장, 폐기시설 등의 설치기준, 방사성 동위원소를 갖춘 시설의 관리기술 및 방사선의 안전 취급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임상실습 Clinical Practice

  • 방사선촬영, 핵의학검사, 초음파검사, 자기공명촬영, 방사선치료, 방사선관리, 환자간호, 관련기기 및 기구의 관리?사용법에 관하여 종합적으로 실습한다.

방사선과학세미나 Seminar of Radiological Science

  • 방사선 관련분야 연구논문 및 자료의 수집, 분석방법과 그 작성방법에 관하여 학습한다.

진료영상기기관리학 Q.C of Medical Imaging Equipment and Practice

  • 진료영상기기와 그 부속기구를 포함한 각종 의료방사선 관련 기기의 성능이 어떻게 유지되어야 하는지 명시하고, 안전관리 규칙에 따라 보수관리에 필요한 사항, 각종 성능검사 방법과 내용 그리고 성능검사에 필요한 Q.C 장비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