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개요
응급구조학개론(Introduction to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 응급구조학과 응급구조사, 그리고 응급의료시스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응급의료체계의 중추적 역할 담당의 동기부여를 목표로 한다.
해부학(Anatomy)
- 의학의 기초가 되는 학문으로서 인체의 구조를 이해하고 여러 기관의 형태와 기능을 일체로 하여 이해하도록 하며 임상 적용에 쉽게 다가서도록 한다.
환자평가 및 실습(Emergency Patient Assessment & Practice)
- 응급현장과 임상(의료기관)에서 응급환자들에 대한 올바르고 정확한 평가를 숙지하고 환자 처치의 전단계로서 환자의 정상소견과 비정상소견을 알 수 있도록 하다.
의학용어(Medical Terminology)
- 보건분야의 급격한 변화와 의학의 진보에 따라 의료종사자에게 의학용어는 의사소통의 중요한 수단으로 필수적이라 하겠다. 의학용어 구성의 기본적인 법칙을 이해하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학습으로 의학용어 사용 및 해독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응급처치 및 실습(ⅠㆍⅡ )(First―Aid & Practice)
- 응급환자 발생시 처치 및 주의할 점, 금기증 등 환자처치 능력을 배양하고, 반복적인 실습을 통해 임상활동 시 즉시 행동에 옮길 수 있도록 실습을 경험한다.
일반응급처치학(Basic Life Support)
- 응급구조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의 배경학문으로서 환자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올바른 이론으로 현장 및 이송 중 그리고 의료기관내에서 응급구조사의 활동영역의 기본이 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응급환자관리학 및 실습(ⅠㆍⅡ)(Emergency Patient Management & Practice)
- 인간의 기본적인 요구 및 건강의 개념의 설명과 더불어 병원전과 병원내 에서 필요한 응급환자 평가, 감염관리, 활동관리, 투약관리, 응급환자기록 등의 내용과 환자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지식과 술기를 학습한다.
생리학(Physiology)
- 생명체 특히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인체의 구조적인 측면과 생리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며 성장과 발달 과정에서의 변화, 인체 내 질병의 발병과 발병 후의 생리적 변화과정을 거치게 되는지에 대하여 학습한다.
공중보건학(Public Health)
- 공중보건의 주요업무인 질병의 예방관리 뿐만 아니라 환경질환, 사회적 질환, 성인병, 노인병 등의 예방과 관리 그리고 총괄적인 지역사회 보건형태의 이해와 관리방법을 이해한다.
소방법규(Fire service Law)
- 소방공무원 시험 대비와 소방에 관련된 화재의 예방, 진압과 위급한 상황에서 구조, 구급 활동을 규정하기 위한 실무능력을 습득한다.
수상인명구조 및 실습(Water Life Guard & Practice)
- 건강과 여가 생활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더욱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산악안전과 수상안전에 대한 체계적 실습과 예기치 않았던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실습을 통해서 사고를 접했을 때 가장 안정하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병리학(Pathology)/h3>
- 의학의 기초적인 학문으로 질병의 원인, 발생기전, 진입과정, 숙주에 미치는 영향 등을 형태학적 및 기능적인 측면에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체 질병상태의 진단 및 치료 방침의 제시 등 일상응용에 이르기 까지 넓은 영역을 학습한다.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병원 전단계의 현장에서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한 응급치료.
심폐소생술에 필요한 기본적인 원리와 기술을 습득하여 여러 가지 상황의 심폐정지 환자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있다.
전문응급처치학 및 실습(ⅠㆍⅡ)(Advanced Life Support & Practice)
- 응급상태에 있는 환자에 대하여 적기에 적정수준의 응급의료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며 전문적인 응급처치(전문적 기도관리, 전문 심장 소생술 등)에 대한 이론과 응급상황에 대한 실습을 통해 고급 응급구조사로의 자질을 익히도록 한다.
인명구조론(Introduction to Lifesaving)
- 응급현장에서 현장관찰, 응급처치방법, 주의사항, 구급장비 사용 및 환자운반방법 등에 대해 학습한다.
소방현장실습(Field Practice Training)
- 응급현장에 출동, 환자에게 적절한 응급처치, 현장에서의 환자이송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을 연마하여 실무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응급의료정보활용(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Practice)
- 전문화, 정보화, 개방화 되어가는 시대에 발맞추어 다양한 업무들을 행정적인 측면에서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병원행정 및 전산전반에 대한 이론과 실무능력 함양
임상응급의학실습(ⅠㆍⅡ)(Clinical Practice TrainingⅠㆍⅡ)
- 응급처치의 지식을 토대로 하여 임상실습(의료기관)의 기회를 제공하고 실습하도록 한다.
환자 발생시부터 생명의 위험을 회복하기까지 구조업무와 적정수준의 응급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응급구조사로서의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신경외과 처치술(Neurosurgical Emergency Care)
- 뇌, 척수를 비롯하여 말초신경이나 자율신경을 포함한 모든 신경계의 외과적 질환(선천성 기형, 혈관장애, 염증, 외상, 기능적 질환 등)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처치술을 교수한다.
보건관리총론(Health Services Management)
- 보건관리학의 기초가 되는 보건의료자원의 현황 및 활용과 이에 관련된 원리와 기법을 이해하도록 한다.
약리학(Pharmacology)
- 생화학, 생리학 및 기타 의학 분야의 지식을 토대로 약물의 작용과 기전, 생체내 처리, 부작용 및 독성 등 약물에 대한 필수지식을 습득하고 임상에 적용한다.
중환자관리학(Intensive Care)
- 중환자의 집중관리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고 이를 적용하여 환자에 대한 문제를 판단하며 이를 전문적으로 중재함을 목표로 한다.
전문외상처치술(Advanced Trauma Life Support)
- 다발성 외상 환자에게 표준화 되고 체계적인 응급처치를 시행하고 그 외상기전을 이해함으로써 신속하게 손상부위를 처치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구하거나 심각한 장애 및 후유증을 예방할 수 있다.
전문심장구조술(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 기본인명구조술과 함께 환자의 호흡과 순환을 보조하기 위하여 전문기도관리 방법과 기술을 습득하여 부정맥의 감지 및 치료, 정맥로 확보, 심실세동 환자의 조기치료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익힌다.
보건의료법규(Law Concerning Health Care)
- 보건의료관계법의 개념, 체계 및 분류 등을 이해하고, 응급구조 업무를 행함에 있어서 관계되는 법의 내용을 숙지한다.
전문소아처치술(Advanced Pediatric Life Support)
- 응급구조사로서 신생아, 소아의 생리학적, 정신적, 발달적 변화를 이해하며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응급사항에 대한 이해와 과학적인 응급처치 방법을 익힌다.
대량재해응급의료(Multiple Disaster)
- 대량 환자가 발생하는 재해 상황시의 재해대책과 전반적인 조직체계를 주지시키며 재해대처과정에서의 응급구조사의 역할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임무수행을 할 수 있게 한다. /li>
호흡내과학(Respiration Medicine)
- 병원 전 현장과 의료기관 내에서 호흡관리를 주로 배우는 과목으로 산소요법, 호흡기구 관리, 인공호흡기 사용법등 호흡관리에 사용하는 장비 및 호흡관리술기의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환경응급(Environmental Emergency)
- 여러 가지 환경적 요소(빛, 온도, 양물, 공해, 생물체 등)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응급상황을 즉각적 인지하고 현장 상황에 따른 대응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환경질환으로 인한 응급상황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환자구조 및 이송(Practice of Patient Rescue & Transportation)
- 환자의 이송원칙, 환자의 구조와 이송 및 응급차량에 환자를 싣거나 내리는 방법을 습득하여 응급구조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소방행정(Fire Administration)/h3>
- 소방관련 학문을 연구하고, 소방기술 및 소방행정의 향상과 재난 방지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한다.
응급의료정보통신(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 Communication)
- 전파법과 무선교신 방법 등을 습득하여 현장과 의료기관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한다.
응급의료법규(Law Concerning Emergency Care)
- 응급의료관계법의 개념, 분류 및 체계, 목적 등을 이해하고 응급구조업무를 행함에 있어서 관계되는 법의 내용을 숙지한다.
기초의학(Basic Medicine)
- 해부, 생리, 병리, 약리학 및 공중 보건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평가하고 기초의학에 대한 개념을 정립함에 있다.
소방실무(Fire Suppression)
- 대형화재 및 사고로 인한 각종 재난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대책과 예방관리를 위한 전문지식을 갖춘 유능한 수방인재 양성을 위하여 소방과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교육을 행한다.
응급의료서비스론(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 응급의료에 관여하는 각종 단체와 구성 배경을 이해시키며 응급의료시스템의 구성요건, 발전방향, 선진국의 응급의료시스템을 바탕으로 응급의료서비스를 이해하도록 한다.
법의학(Forensic Medicine)
- 법의학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기본 지식을 습득하여 구급현장 및 범죄현장에서의 법률상 문제되는 의학적 사항을 연구하여 이를 해결함으로써 법 운영 및 해결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