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HOME > 교과과정 > 교과목개요

교과목개요

물리치료학 개론 (Introduction to Physical Therapy)

  • 물리적인 요소 즉, 열, 전기, 광선, 물, 운동 등을 사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학문으로 물리치료의 각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물리치료의 기본원리, 치료에 필요한 기자재, 물리치료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학습시킨다.

해부학 (Anatomy)

  • 인체 각 부분의 구조와 형태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체의 계통별로 기초부터 이해시켜 기초의학의 기반을 닦아주고, 물리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질환의 구조적 변화를 이해하도록 학습시킨다.

신경해부생리학 (Neurophysioanatomy)

  • 신경계통의 형태와 구성을 강의하며 신경계의 기능을 이해시켜 임상에서 나타나는 신경계 병변의 원인과 결과를 유추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기능해부학 및 실습 (Functional Anatomy and Practice)

  • 상하지 및 척추에 대한 운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모든 근육의 작용을 정확히 이해하며 근육이 제 기능을 다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반 사항을 해부학적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측정 및 평가 실습 1, 2 (Measurement and Evaluation Practice 1, 2)

  • 환자를 평가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질병, 손상 및 기타 원인으로 인한 기능장애, 변형 상태 및 운동 발달 상태를 치료사의 손과 기구에 의하여 검사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치료교육실기1, 2 (Therapeutic Education Practice1, 2)

  • 적응행동을 증가시키고 부적응행동을 감소시키는 다양한 행동수정방법을 익히고, 행동측정법과 연구 설계 방법을 학습하여 물리치료에 적용하도록 한다.

열 및 전기치료학 실습 (Electotherapy and Practice)

  • 전기 물리학, 전기 생리학의 기본 이론과 전기진단 및 전기치료기계의 특성을 이해하고 각종 질환을 진단, 치료하는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광선 및 수치료 실습 (Phototherapy, Hydrotherapy and Practice)

  • 고체나 액체, 기포, 증기상태의 물을 신체에 내적 혹은 외적으로 적용하는 수치료와 광선치료의 구조의 이해와 여러 기구의 조작방법 및 각 질환에 대한 치료 방법을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운동치료학 및 실습 1, 2 (Therapeutic Exercise and Practice 1, 2)

  •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한 말초신경 및 근육 혹은 관절계의 비정상적인 기능을 정상 혹은 정상에 가까운 상태로 회복, 증진시키거나 보다 나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처방되는 신체의 운동으로 주로 근육 및 골격계의 질환에 대한 운동치료를 이해하고 임상에서 환자를 진단하는 치료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기술을 집중적으로 실행하는 과목으로 주로 중추신경계 환자의 기능회복을 중점으로 실습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이학적검사학 및 실습 (Physical Examination and Practice)

  • 관절가동범위 측정법, 근력측정법, 반사검사법 등 신경근골격계와 관련된 검사법을 강의 하고 실습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임상실습 1, 2, 3 (Clinical Practice 1, 2, 3)

  • 병원임상실습을 통하여 병원에 방문, 실제로 환자를 보고, 학교에서 배운 치료방법 및 기타 이론적 학문을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생리학 (Physiology)

  • 인체의 생리활동 즉, 호흡, 순환, 소화, 운동생리 등에 관한 기본 원리를 배우며 각 기관의 정상기능과 이상 형태를 대비하여 보건의료인으로써 필요한 기초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의학용어 (Medical Terminology)

  • 의학 분야를 학습하는데 기본이 되는 의학용어의 정확한 뜻을 익혀 물리치료에 관련된 전공서적을 독해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병리학 (Pathophysiology)

  • 체액이나 조직 안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나 계통이나 장기에서 생긴 병 생리학을 알아내고 병인과 병의 기전을 과학적이고 정확한 진단을 함에 있어 검사 업무의 원활한 수행과 결과 해석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재활의학 (Rehabilitation Medicine)

  • 재활치료를 요하는 각종 질환에 대하여 그 원인, 평가, 증상, 치료 등을 강의하여 임상에서 접하게 되는 질환을 이해하도록 학습시킨다.

환자심리학 (Patient Psychology)

  • 심리학의 영역 및 기초를 전반적으로 소개하고 심리학이 다루는 인간 행동과 심리과정에 대하여 강의하며, 정신적인 질환을 이해하고 치료의 적용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노인물리치료 (Geriatric Physical Therapy)

  • 노인질환에 대한 평가 및 치료방법 및 다양한 건강 체조방법을 습득시켜 효율적인 노인물리치료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임상운동학 (Clinical Kinesiology)

  • 인체의 운동기관을 역학적으로 분석, 이해하여 물리치료환자의 기능장애를 운동학적으로 이해하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운동생리학 (Exercise Physiology)

  • 운동시에 발생하는 인체의 호흡, 대사, 소화, 혈액, 영양, 근신경계 등의 생리학적인 변화를 이해하도록 학습시킨다.

작업치료학 (Occupational Therapy)

  • 작업치료에 적용되는 질환, 평가방법, 평가도구, 치료방법 등을 각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작업치료의 기본 개념 및 관련된 전문용어 등을 포괄적으로 학습시킨다.

한의학개론 (Introduction to Oriental Medicine)

  • 동양의학의 기본 이론과 한의학적인 생리, 병리, 질병을 공부하여 물리치료와 연관하여 침술의 기본이론과 기본적인 경혈을 학습시킨다.

근골격계물리치료 (Musculoskeletal Physical Therapy)

  • 근육계, 골격계 질환에 대한 원인 및 증상과 예후 등을 학습하며, 각 질병에 대한 물리치료법을 배우고 그 질환에 대한 기형의 방지 및 예방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신경계물리치료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여러 질환을 평가, 치료하는 것으로, 질환의 특성을 이해하고 평가방법과 주요문제점을 파악하는 능력을 높여,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학습시킨다.

스포츠물리치료 (Sports Physical Therapy)

  • 운동생리학 지식을 기초로 하여 스포츠와 관련된 손상을 운동종목별, 신체부위별로 학습하고, 이에 대한 물리치료 방법을 실습하여 운동선수들에게 또는 운동으로 인한 환자에게 손상의 예방과 손상 후의 물리치료를 실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정형도수치료학 및 실습 (Orthopedic Manual Therapy and Practice)

  • 기능해부학과 운동학을 기초로 하여 척추와 사지의 구조적 질환 등의 정형외과적인 질환에 대하여 Cyriax, Maitland, Kaltenborn, Mennell 등의 도수치료 기술을 적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시킨다.

아동물리치료 (Pediatric Physical Therapy)

  • 운동발달, 운동조절 및 운동학습을 이해하고 아동질환에 대한 평가 및 치료방법을 습득시켜 소아물리치료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보조기의지학 및 실습 (Orthotics, Prosthetics and Practice)

  • 골절, 말초신경마비, 중추신경마비, 선천적 기형 등으로 인한 기능의 불능이나 장애가 있을 때 사용되는 보조기구와 신체의 일부가 절단되었을 때 그 기능을 대치하기 위한 의수족에 관한 학문을 학습시킨다.

치료적마사지 및 실습 (Therapeutic Massage and Practice)

  • 각종 질환이나 손상에 대해 치료적 목적으로 마사지의 기본원리와 적용방법, 효과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산업물리치료 (Industry Physical Therapy)

  • 인간공학에 관한 기술을 발전, 응용하여 산업체 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올바른 평가를 통해 작업환경개선 및 인간복지 향상시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일상생활동작 및 실습 (Activities Dailey Living and Practice)

  • 장애인과 환자의 잔존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훈련법과 운동방법을 숙지하여 실제 임상에 적용하도록 학습시킨다.

의료법규 (Health Laws)

  • 보건의료의 실무적인 규범인 의료법, 전염병, 예방법, 의료기사법 등 보건관계 법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물리치료사로서 국민의 보건 향상을 위하여 적절한 의료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공중보건학 (Public Health)

  • 인간 집단을 대상으로 건강장애의 배경이 되는 사회적 제 요인을 확인하고 이것을 제거하여 국민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병을 예방하여 사회 전반의 안정 상태를 이룩하기 위하여 개인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정형외과학 (Orthopedics)

  • 골격, 관절, 근육 및 운동기관에 관계된 질병과 외상에 의한 장애를 전반적으로 파악하여 임상의 물리치료 환자에 대한 평가, 치료방법, 기능회복에 적용, 응용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신경외과학 (Neurosurgery)

  • 물리치료에 필요한 신경계 질환을 그 원인 증상 장애치료법 등에 대하여 배우는 학문으로서 신경생리학, 중추신경계 질환, 말초신경계 질환 등을 포함하여 임상 치료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통증물리치료 (Physical Therapy for Pain Control)

  • 근육, 골격, 관절 및 신경 등의 손상으로 인한 질병과 외상 등의 장애로 인한 통증에 대한 기전을 이해하고 치료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척추교정 및 실습 (Spinal manipulation and Practice)

  • 사지 및 척추나 골반에 나타나는 증상을 손으로 교정하여 인체의 신경기능을 회복하여 건강의 증진에 기여하는 치료법을 강의와 실습을 통하여 습득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방사선진단학 (Diagnosis Image Reading)

  • 환자의 진단에 기본이 되는 방사선에 대한 기초 이론 및 영상판독법을 익히도록 함으로써 임상에서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 연구 논문을 쓸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연구방법의 종류, 분석계획, 자료수집, 결과해석, 논문 작성법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교육학개론 (Introduction to pedagogy)

  • 교육의 기본개념 및 학문적 기초, 과정, 운영 등을 고찰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실기교육방법론 (Educational Method for Practice)

  • 보육교사의 실질적 준비과정으로 지식과 교수법을 배우며 현장실습의 중요성과 실기 지도 방법을 학습시킨다.